9 정맥/낙남정맥(完)

낙남정맥6구간:부련이재~문고개~대곡산~추계재~화리재~천왕산~큰재~백운산~장전고개

ㅅ r 계절 a 2020. 12. 31. 10:10

○산행날자:2016년7월29일30일(금,토, 무박산행)

○산행장소:경남, 고성, 일원,

○산행날씨:무덥고 습한 날씨,

○산행인원:나 외 2인,

○산행거리:gps거리,19,25km

○산행시간:10시간10분, 소요,

○산행비용:밀양터미널에서 부련이재 1만8천원

○산행교통편 갈때:집앞에서 704번 탑승 구파발에서3호선 환승 남부터미널 하차 진주행

고속버스 탑승 진주터미널 하차 터미널에서 택시 승차 부련이재 도착 후 산행으로 이어짐.

○산행교통편 올때:장전고개에서 택시로 부련이재 이동 부련이재에서 동행한 분들 차량으로

진주로 이동하여 여관에서 씻고 터미널로 이동하여 고속버스로 남부터미널 이동 3호선과

버스를 환승하여 귀가를 하며 산행을 마무리 한 낙남6구간 입니다.

○산행트랙:

낙남정맥부련이재~장전고개__20160730_0458.gpx
0.09MB

 

( 산행 내용 )

 

◎부련이재:5시00분. 산행시작.경남 고성군 영현면 영부리와 고봉리를 이어주는 고갯마루.

◎문고개:5시15분.시멘트 임도길 

◎백운산 대곡산(391m):5시52분. 나무로 표기된 산패. 표식을 알 수 없는 삼각점

◎224.5봉:7시9분.삼각점 (진주477) 1986 재설

◎천황산(342.5m):7시23분. 정상 산패.

◎추계재:8시9분. 1016번 지방도가 지나는 지점으로 경남 고성군 영현면 추계리와 상리면 망림리

   연결하는 고개 입니다.

◎대곡산(544.9m):9시48분 삼각점 (통영401) 와룡지맥분기점.

◎통영지맥분기점:9시50분 준희님 표지기 설치된 봉우리

◎아스팔트길 철문:10시23분. 사숨농장 출입구.

◎530.7봉:11시29분.

◎화리재(395m):12시5분.천왕산 안내도가 설치되어 있고 임도길

◎천왕산(581.9)12시53분 정상표지석 삼각점(함안314)

◎천왕산안내도:13시53분.

◎백운산(484m):14시57분 준희님 산패가 설치된 정상

◎농장:15시14분

◎장전고개:15시33분 산행 완료.

 

 

        3년4개월이 흐르고 다시 도착한 부련이재 그 당시에는 산행이 끝나고 자리에 셧기에 밤이 아닌 낮에 도착이 되어 시산제를

            지냇던 장소로 기억이 생생하고 아이로니 하게도 산행의 안녕과 건강을 빌며 제를 지내고 그 다음 산행부터 스톱이 되어 몇

            개월을 정형외과며 침술원을 들락거렸으니 제를 잘못 들여서 그런가 우수개 소리를 해 보기도 하였지만 참으로 감개무량

            이라는 말은 이런 대목에서 나오나 보고 언젠가는 낙남을 마무리하며 9정맥을 끝내겠습니다.

                  택시를 타고 부련이재에 내리니 다른 차량이 고개 정상에 스톱을 하는 것이 보이고 짐작에

                  지나는 차량이 잠시 머물다 가는 거라고 생각을 하며 산행준비를 하는데 저쪽 차량에서 내린

                  분들이 우리 차량으로 오고 인사를 하며 어떻게 오셨냐고 물으니 그분들도 오늘 부련이재에서

                  장전고개까지 진행을 하신다 한다,

 

                  나는 계획에는 장전고개를 지나 배치고개까지 계획을 잡았지만 어떻게 될런지 산행을 하며

                  생각을 해 보기로 하고 배냥을 정리하여 산행준비가 끝나고 산행이 시작이 됨니다.

           남부터미널에서 진주 아닌  삼천포 지금은 사천시가로 가야 최단거리 인데 판단미스로 진주터미널에 내리고 

                 택시를 타고 부련이재까지 이어오고 인연이 아닌 인연으로 3명이 산행을 이어가게 됨니다.

                 부런이재를 지나 진행을 하다 보니 도착된 문고개 차 1대가 지나칠 정도의 임도를 지나게 된다

 

                   나무로 설치된 산패와 확인이 불가한 삼각점이 보인다

 

                                                        등로에 핀 도라지꽃

                                                           임도를 지나고

 

                                                              다시 도착되는 비포장 임도길

                                                        임도길을 따르고

 

                                                     임도가 끝나고

                 이어 도착되는 배곡고개 마루금은 도로를 건너 바로 이어 지고

                 2차선 아스팔트 도로가 통과하는 곳은  경남 고성군 상리면 영현면 경계에

                          위치한 고개 이며 차량통행은 뜸하고 한가로운 곳으로 보이는 곳 입니다.

 

       삼각점(진주477 1986 재설)

 

                  천황산에 도착이 되고 새마포산악회에서 코팅지로 표기를 한 정상 표찰이 설치되

                  있고 일 이년 비바람에 없서질 것으로 보는 표찰 입니다.

 

 

              진행을 하다가 보니 추계재에 도착이 됨니다 

              고성군 영현면 추계리와 상리면 망림리를 이어주는 고개로써 고개 밑으로

              는 민가가 있고 정맥은 이동통신탑 사이로 이어서 진행을 하면 됨니다.

 

 

 

 

 

                                             사슴농장 울타리를 따라서 진행되는 낙남길

                                   대곡산(544m) 삼각점(통영401) 와룡지맥분기점

 

                                   삼각점

 

                                          통영지맥 분기점

                                      농장 울타리를 급하게 내려와 도착한 아스팔트 도로

                                                         농장으로 진입을 하고

                                                     묘를 지나고

 

                                                            잡목이 우거진 530.7봉을 지나고

 

           화리재에 도착을 하니 지도에는 무량산으로 표기가 되있셨지만 무슨 연유로 산명을 개명을 하였는 지 ?  

           의문을 가지고 천왕산을 향하게 됨니다

 

                                                              이어진 비포장 임도길

                                                 정상표시는 천왕산을 일컷는 것으로 생각이 듭니다

 

                                산 아래 풍경

                 드디어 오늘 산행에 정상석이 있는 봉우리를 처음으로 접하게 되고

                 중간중간 산행표기판을 보는 것도 천왕산구간이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보이고

                 아무래도 천왕산이 유명하기에 그런가 봅니다.

                       정상에는 삼각점(함안314 2002년 재설) 표기판이 설치되어 있고 태양광

                       판낼로 무인산불 키메라를 가동시키는 모습도 볼 수가 있습니다.

 

                                           

 

                                      삼각점과 주소와 파손시 법령에 의하여 어져구 저쩌구 주구장창 써놓은 글을 보고

                                                  삼각점을 확인하고 사진으로 남긴다

 

                천왕산을 지나 시멘트 임도를 따라 내려와 마루금으로 붙어서 큰재까지 갈수도 있고 임도를 따라

                가도 큰재에 도착이 될 수가 있는 장소 이지만 마루금으로 복귀를 하여 큰재로 가는 방법을 택하고

                걸으니 얼마 지나지 않아 큰재에 도착이 되어 잠시 휴식을 취하다 백운산을 향하게 됨니다.             

                   천왕산에서 시멘트 임도를 따르니 큰재에 도착이 되고 길을 건너면 다시 마루금으로

                              이어진 낙남길로 들어서고 계속해서 고도를 낮추던 것이 이제부터는 오름으로 바뀌고 

                              백운산까지는 이어지게 됨니다.

                           큰재의 2차선 아스팔트 도로 중앙선이 없는 것을 보니 2차선 이라고 

                           하기에는 민망하지만 차량이 교차가 되어 통행이 되기에 붙여 봅니다.

 

                          작업중인 차량 반대편 능선이 올라야 할 들머리 이고 천왕산에서 큰재까지 거져

                                         왔다시피 하였으니 조금은 고되도 앞을 보며 진행에 나서게 됨니다.

 

 

                                                          서서히 암능이 나오고 

 

 

                        오늘 계획은 부런이재를 떠나 장전고개가 아닌 배치고개까지 머리에 그림을 

                                    그리고 장도에 올랐으나 오바페이스 랄까 몸이 이상이 생겨 걷지를 못하다가 산행

                                 후반에 괜찮아 지었지만 부련이재에서 동행한 2분중 1분이 탈이 생겨 부득이 장전고개

                               에서 산행을 끈으며 아쉬움을 간직하고 마친 구간 입니다.

 

 

 

                                   산행도 끝나가고 있고 장전고개에 조금만 걸으며 도착이 됨니다

 

 

                                                        다음을 기약하며 장전고개 정류장을 담아 본다

 

                                                               성배내닉도 수도원 입구 표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