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날자:2014년7월26일27일(토,일, 무박)
◎산행장소:청양군, 보령시,
◎산행인원:코뿔소산악회, 급북팀(14명)
◎산행날씨:무덥고 흐린 날,
◎산행거리: 도상거리:26,3km, gps거리:22,62km
◎산행시간:10시간10분, 소요, 식사 및 휴식 시간 포함,
⊙당고개:02시53분: 산행 시작,29번국도가 지나는 지점
⊙2번철탑:03시19분
⊙박정고개:04시02분
⊙333봉:04시45분, (삼각점, 청양401)
⊙여주재:05시25분, 36번국도가 지나는 고개고 정상에는 sk주유소가 있다
⊙천마봉::05시57분, 삼각점과 수준점과 산불감시탑이 있는 봉우리로써
⊙군량리고개:1차선아스팔트도로, 청양읍군량리와 매산리 사이에 있는 고개로써
주위에는 민가가 몇 채있고 도로를 건너서 다시 오봉산으로 이어진 등로가 있다
⊙고운식물원 임도: 비포장 도로
⊙오봉산:08시04분, 청양군 화성면과 남양면에 위치한 봉우리
⊙공덕재:08시57분, 610번지방도가 지나는 고갯마루,
⊙백월산:10시09분 ,충남 보령시 청라면과 청양군 남양면과 북쪽으로는 청양군 화성면에 위치한 산으로 해발
570m 이며 이산에서 발원한 대천은 해소포로 흘러간다
백월산은 퇴적암으로 이르어진 산으로 바위를 보면 시멘트에 자갈이 들어있는 모습으로 보이고 금남호남 때
지나온 진안의 마이산과 같은 퇴적암으로 이루어져 자세히 관찰을 하며 구간을 지나고 백월산은 금북정맥
줄기가 최 남단에 위치한 부분이고 백월산을 조금 지나 다시 서북쪽으로 방향을 틀어 이어지게 된다
⊙스무재:12시02분,36번국도가 지나는 고개로 옛날에는 고개를 지나려면 20명이 있서야만 넘을 수 있셨던
고개고 육십령 팔십명 이 있서야만 지나쳣던 고개는 정맥선상과 대간 구간상에 구전으로 전해지고 있고 오늘날
대한민국은 치안은 그 엣날에 비하면 안전하다고 할 것 이다
⊙물편고개:13시04분(산행 완료) 청양군 화성면과 보령시 청라면에 위치한 고개로써 610번지방도가 지나는
지점으로 고개 정상부근에는 농장과 취락이 형성되어 있고 버스정류장도 있서서 대중교통으로도 들머리에
접근할 수 있는 지점이라고 생각이 든다
이번구간 우측은 청양군이며 좌측으로는 금북정맥 최 남단 백월산까지는 청량군이고 서북진하는 금자봉까지는 보령시, 그 이후는 홍성군이다.
○ 학당고개 : 충북 청양군 청양읍 학당리 학당2리, 청양과 예산을 잇는 29번 도로, 학당주유소를 조금 지나 매일유업 청양공장 입구 도로를 따라가다 청양정비공장 좌측 콘테이너박스 뒤 산으로 진입.
○ 여주재 : 청양군 청양읍과 청양군 화성면을 넘는 36번 국도상의 고갯마루, SK주유소는 영업 중 , 구봉휴게소는 휴업 중
○ 천마봉(天馬峰422.1) : 충청남도 청양군 화성면 매산리(梅山里)와 청양읍 장승리(長承里) 및 군량리(軍良里)에 걸쳐 있는 산, 청양읍에서 가장 높은 산봉우리로 주위에는 성이 있고 성 안에는 옛날에 수십 채의 집이 있어서 마을이 형성되어 있었다고 전해진다. 동학난이 발생하였을 때 홍성까지 올라갔던 동학군이 이곳에서 관군과 싸우다가 천 마리의 말이 죽어, 말 천 마리를 묻었다는 데에서 천마봉이라는 이름이 유래하였다. 청양군 청양읍 군량리(軍糧里)에는 토축산성인 천마봉 산성 [靑陽天馬峰山城]이 있다.
○ 오봉산(구봉산498m) : 충남 청양군 화성면과 남양면 경계에 위치,
○ 공덕재 : 청양군 화성면 화암리(花岩里)에 위치하고, 610번 2차선 지방도가 지나는 한적한 고개, 이고개의 동남사면에 공덕마을이 있음
○ 백월산(571m) : 금북정맥에서 가장 남쪽에 위치한 산으로 남쪽의 반환점에 위치한다. 산의 바위가 퇴적암의 역암으로 큰 자갈을 시멘트와 버무려놓은 것 같이 생겼다. 남양면은 달이 지는 모습이, 청라면은 달이 뜨는 모습이 산위로 보이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 하며. 현지 주민들은 월산이라고도 부른다.
○ 금북지맥(가칭) : 금북정맥의 최남단 백월산에서 오서산으로 향하지 않고 남쪽으로 성태산 조공산 월하산 월명산 옥녀봉 봉림산 오석산 남산 서대산 중대산을 거쳐 장항앞바다 금강하구까지(69.4km) 이어진 산줄기
○ 스무재 : 보령군 청라면에서 청양군 화성면으로 넘어가는 고개, 이 곳을 거쳐 예산으로 가려면 80리길이며. 고개가 높고 험해서 행인을 괴롭히는 도적들이 많아 이 고개를 넘을 때에는 장정 20여명이 몰려서 넘었다하여 스무재이다, 2차선 도로, 옆으로는 화성농공단지가 있다.
○ 물편고개(해발126m):충남 청양군 화성면 화강리 480-2
물편고개는 보령시 청라면과 청양군 화성면 화강리 물편 마을을 지나는 610번 지방도가 지나가는 고개로써 멀미 마을 남서쪽에
자리한 마을을 물펴니 라고 부르는데 화강리에서 가장 큰 마을로 물이 좋아서 농사짓기 좋은 마을이라고 한다
항상 물이 땅속에서 솟는다 하여 물펴니 라고 했는데 후에 발음이 변하여 물편이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오늘은 금북도 7구간째 이어지고 2번째 구간에서 예기치 못한 사정으로 불창을 하여 이번 이면 6번째 금북정맥에 나서고
오늘 산행은 산행지도에서는 없지만 고도표에는 있는 우수고개에서 마치려고 하였지만 무더위와 오루락 거리는 고도차로
인하여 선두에서 물편고개에서 산행을 접는 관계로 조금은 아쉽지만 몸을 생각해서는 다행이라 여기며 산행을 마치게 된다
지난번 산행 날머리인 학당고개 오늘은 무박으로 인하여 어둠에 묻혀있고 앞으로 몇 시간은 어둠을 낮삼아 거닐게
될 것 이다
매일유업 울타리를 따라서 진행을 하게 되고 야간이라 그런지 기계 돌아가는 소리에 신경이 거슬리고 환하게
껴진 불빛 주위 울타리를 빙빙돌아서 도착한 곧이 철탑이었고 알바도 하게 됨니다
도착한 2번 철탑의 모습
복구를 하여 놓은 모습
2번 송전탑을 지나 다시금 지나는 송전탑 운무에 송전탑 번호를 식별을 못하고 지나친다
박정고개는 용천리와 청수리를 연결하는 비포장 임도로써 청수리 방향으로 진행을 하면 29번국도와 연결되고
용천리 방향으로 진행을 하면 96번 도로와 연결이 되는 임도 이다
고개를 지나는 주민들이 많지 않은지 잡풀로 우거진 모습이고 오늘 습도가 높아서 신발과 옷을 적시게 한다
9번 철탑을 지나게 된다
9번 송전탑을 지나 봉우리 하 나를 지나게 된다
삼각점(청양401)과 수준점이 있는 334봉을 지나게 된다
지도에도 없는 일산봉이란 봉우리를 지나는데 무슨 근거로 작명을 하였는지 궁금하다
여주재(210m)에 도착을 하니 고개에서 우측으로 주유소가 있고 36번국도가 지나는 2차선 아스팔트 도로로써 옛날에는
여든 명이 모여야 고개를 통과 할 정도로 고개에는 도적이 많아서 여든재가 변하여 여주재로 불리어지는 것으로 생각되고
고개를 경계로 우측은 청양군 화성면 신정리 이고 좌측은 청양읍 장승리로 갈리는 지점 이다
주유소 방향으로 도로가 있서서 고개 아래쪽으로 삼거리가 형성이 된다
운무에 고개 밑은 분간하기 어려울 정도로 짖게 운무가 끼워 있는 상태이다
천마봉을 오루며 놓여있는 벤치
여주재를 지나 20분 정도 오루니 천마봉에 도착을 하니 정상에는 삼각점(청양21)과 수준점이 있고 이동통신탑과
산불감시초소가 있는 봉우리 였으며 역사적으로도 의미가 있는 봉우리로써 동학혁명 당시 관군과 일본군에 폐퇴한 동학군
과 말이 묻혔다는 전설을 간직한 봉우리 입니다,
삼각점
삼불감시초소와 이동통신탑 모습
군량리고개(매산리)에 도착을 하니 안개사이로 둥근 해가 비추는 모습을 보개되고 오늘도 날씨도 넙고 습하기에
땀을 흘리게 되겠군아 생각을 하며 고개에 다다른다
천마봉을 지나 얼마나 지났을까 군량리고개 또는 매산리에 도착을 한다
도로에 도착하니 가까이에 있는 민가에서 멍멍이가 반기듯 짓여주고 반기는 모습으로 보이고
도로는 너무도 조용하고 적막이 흐르는 동네로 산행이 끝나고도 기억에 남는다
중간중간 이정표가 잘 되어 있섰고 내가 알기로는 정맥꾼이 아니면 그다지 올 사람들이 있을까 상상을 하며
청양군에서는 재정도 어렵울 것 같지만 무명봉이나 다름없는 지점에도 이렀게 신경쓴 모습이 보입니다
다시 바라본 고개 모습
이른 아침을 먹는데 아침부터 모기들의 습격으로 밥을 먹는 둥 마는 둥 모기를 쫏느라 수선을 피우며 시간을 활애한다
오봉산 가기전 식물원 내부의 임도
임도를 보며 조금만 더 왔으면 넓은 자리에서 편하게 만찬을 줄겼을 텐데 하며 아쉬워 합니다
우리 일행이 올거라 생각하였던 지 제초를 하여 말끔한 임도, ㅎ ㅎ ㅎ 농담이지만 깔끔합니다
옛길 흔적
오봉 입구의 헬기장 한참 풀들이 자라는 시기라 그런지 푸르름은 더하고 아침 공기도 향긋한 아침입니다
드디어 오봉에 도착을 하지만 어디어디 봉우리가 5개지 모르는 오봉입니다
전국에 수 없는 오봉이 있지만 내가 자란 도봉 옆 오봉이 전국 제일의 오봉으로 생각듭니다
청양의 오봉산은 화성면과 남양면 경계에 있는 산으로써 5개의 봉우리가 있나 숫자를 세워보았지만
5개의 봉우리 라는 걸 확인은 처음부터 불가 하였고 정상 부근에서가 아니라 산 아래에서 확인을 하는게 맞는가 봅니다
청양군에서 세운 표지판과 정상 표지판 모습
지나간 선답자들의 시그널
오봉 정상 옆으로 산불감시초소가 있지만 웬일인지 쓰러져 있고 자세히 들여다 봐야만 알수가 있서서 용도 폐기를
한 것으로 보입니다
처참하리 만큼 쓰러져 있는 감시탑 모습
그렇게 많이 다니는 산으로는 보이질 않지만 가끔씩 놓여있는 벤치가 있습니다
마을과 마을을 이어주던 고개의 모습이 남아 있습니다
온추리꽃
또 하 나의 봉우리 이렇게 믿믿한 봉우리를 가지고 오봉 이니 무엇이니 하였던 것으로 보임
그러고 보니 여기도 알려져 있는 가
이정표가 잘 되어 있고 관리도 다른 지자체와 비교가 될 정도로 신경을 많이 쓰는게 보입니다
610번지방도가 지나는 공덕재에 도착을 합니다
이 고개도 매산리고개처럼 한산하기는 마찬가지로 조용한 고갯마루 입니다
공덕재는 화성면 산정리 오른쪽과 왼쪽으론 남양군 신왕리에 위치한 고개로써 고개로써 2차선 아스팔트 도로 입니다
공덕재를 지나며 등로가 파헤처져 있고 무었을 하나 보니 백월산 부근에서 등로 공사를 하는 것을 볼 수가 있셨다
잘 정리 된 묘지를 지난다
09시11분 간티에 도착을 하고 비포장 임도로 그다지 고도 없시 백월산 입구까지 가게 된다
간티
( 금북기맥 이란 )
백월산에서 분기하여 성태산 조공산 월하산 천덕산 월명산 옥녀봉 봉림신 오석산 남산 왕개산 이어진 산줄기로써 신 산결표에 의해 다시금 조명받는
기맥이라는 줄기로써 총 길이는 69,4km에 이루는 그리 길지 않은 맥을 가르치는 용어이고 금강하구에서 맥은 끝이 난다
(성주지맥 이란)
금북기맥에서 다시금 새끼를 끼우니 성수지맥 이고 성태산에서 시작된다고 성자는 땃을거고 주는 성주산에 주자를 따 성주지맥이라 부르는 것으로 짐작이 가고
묵마산 봉화산 진미산 통달산을 지나 웅천앞 바다 의 부사방조제 앞까지 이어지는 산줄기로 웅천천의 좌틀 분수령이 되는 도상거리 34km 지맥을 말 하는 것 이다
등로는 한참 공사중이라 엉망이고 급하게 고도를 낮추며 진행을 핝다
백월산을 내려와 만나는 임도와 마을을 만나고 마을길 이 아닌 등로를 따라서 진행을 하면 대죽밭을 지나고
다시 비포장 도로를 가다가 등로로 이어지는 그리 높지않은 등로가 놓여있고 그런식으로 진행을 하면 스무재에 도달 한다
마을길을 따라 진행을 하다 다시금 등로로 이어진다
백월산을 넘으면 스무재는 다달았다고 보면 된다
드디어 스무고개에 도착을 한다
예상으로는 높으리라 생각하였지만 평범한 고개로써 36번국도가 지나는 2차선 아스팔트도로로 차량이 다른 도로
많이 다녔고 보령시 청라면과 청양군 화성면에 걸쳐있는 고갯마루 이다
옛길을 지난다
56번 송전탑을 지난다
예상으로는 물편고개가 아닌 우수고개에서 산행을 끝내려 하였지만 오늘 산행도 만만치 않은 코스라 체력이 방전되어
선두에서 만세를 부르는 바람에 산행을 끝내니 못이긴 척 합의하며 오늘 구간을 마무리 한다
오늘 백월산으로 이어진 등로는 빡세고 날씨도 7월이라 더운 관계로 많은 육수국물을 흘린 관계로 힘들었던 하루였고
다음 구간은 더 힘들지 않을까 날씨로 인하여 예상을 하여 본다
물편고개 부근에는 취락이 형성되어 있고 스무고개처럼 차량통행량이 많지는 않치만 사람이 사는 모습을 눈으로
보며 시골 냄새에 취하게 된다
물편고개에 있는 농장 모습
무더위에 흘린 땀을 씻을 곳이 없는 고개라서 걱정을 하였지만 근처의 민가에 양해를 얻어 몸을 씻게되고
주인 아주머니에게 고마움을 표하며 나오게 됨니다
산행을 하며 다녀보면 아직까지도 정이라는 것이 남아 있서서 대한민국이 굴러가지 않을까 생각 됨니다
버스가 다니는 정류장이 있습니다
다음 8구간은 빼 먹은 관계로 땜방을 하여야 하기에 차편을 알아 보아야 될 것으로 보입니다
'9 정맥 > 금북정맥(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북정맥10구간:나분들고개~한티재~가야산~일락산~상왕봉~가루고개~무르티고개 (0) | 2015.04.29 |
---|---|
금북정맥9구간:갈마고개~꽃조개고개~까치고개~수덕고개~덕숭산~나분들(45번국도) (0) | 2015.04.02 |
금북정맥6구간:차동고개~장학산~운곡고개~효제고개~문박산~학당고개 (0) | 2015.02.18 |
금북정맥5구간:곡두고개~태화산~갈재고개~각흘고개~봉수산~오지재~차동고개 (0) | 2015.02.01 |
금북정맥4구간: 양곡교 ~국사봉~극정봉~차령고개~곡두고개 (0) | 2015.01.18 |